🎈MZ세대가 국내증시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국내증시 개인투자자수가 2019년 618만명에서 2022년 1,140만 명까지 늘어났는데요! 20대 비율은 6.2%에서 12.7%로 증가했고, 30대 비율도 17%에서 20%로 늘어났다고 해요. 간편하고 직관적인 것을 좋아하는 MZ세대에게 맞는 “MTS”라는 거래방식이 그 이유라고 하는데요!
투자자라면 반드시 이용해야 하는 MTS부터 HTS까지 아주 쉽게 알려드릴게요!
📊HTS
HTS 뜻

HTS는 Home Trading System의 줄임말로 투자자가 객장에 나가지 않고 집이나 사무실에 설치된 PC로 거래하는 방식을 말해요. 쉽게 말해 컴퓨터로 금융 거래를 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뉴스나 영화에서도 많이 나오는데요!
2019년에 나온 영화 ‘돈’에서도 HTS화면을 엿볼 수 있습니다.

HTS 장점
1. 빠른 통신
HTS의 가장 큰 장점은 통신이 빠르다는 거에요.
모바일의 경우, 통신 속도나 와이파이 연결에 문제가 생기면 거래가 늦게 전송되거나 누락될 수 있는데요.
이는 곧 자산의 손실로 이어지게 돼요. 반면, PC는 랜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고 통신이 안정적이에요. 따라서 전문 투자자들이 HTS를 많이 이용하는 거래방식이랍니다.
2. 빠른 정보 확인
모바일은 화면이 작기 때문에 많은 정보를 담기 어려워요. 따라서 정보를 여러 탭으로 나누기 때문에 정보를 확인하려면 몇 번 더 터치를 해야 합니다.
HTS는 PC를 이용하기 때문에 화면이 크다는 장점이 있어요. 따라서 호가나 차트, 그래프같은 정보를 한 번에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이는 시장의 변화를 빠르게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HTS 단점
1. 장소의 제약
HTS의 단점은 PC를 이용하기 때문에 장소에 제약이 있다는 거에요.
약속이 있어 밖에 나와있거나 컴퓨터를 이용하지 못하는 상황일 때 매도를 해야 할 상황이라면 손실이 커지게 됩니다. 물론 스마트폰으로 매매를 하면 문제가 전혀 없지만요.
이처럼 HTS는 장소에 제약이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극복이 가능합니다.
2. 세팅의 어려움
HTS는 기본적으로 세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초보자가 시작하기 어려워요. 테마 설정부터 툴바 지수 설정 등 초보자는 세팅부터 막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또한 매매창, 그래프, 주가지수 등을 한 번에 띄어놓고 거래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대부분 여러 개의 모니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숙련되지 않으면 잘못된 주문을 할 수도 있어요.
3. 더 높은 수수료
증권사에서 주식을 거래하면 증권거래세, 유관기관 수수료, 증권사 수수료가 발생해요.
매수할 때는 증권사 수수료와 유관기관 수수료가 적용되며, 매도 시에는 증권사 수수료와 유관기관 수수료, 증권거래세가 발생합니다.
거래금액별로 수수료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HTS(PC 거래방식)이 MTS(스마트폰 거래방식)보다 수수료가 더 높은 경향이 있어요. 대신증권이나 KB증권, SK증권이 그 예시인데요. 아래는 증권사별로 100만 원을 거래했을 때 수수료율을 정리한 표에요.
(* 수수료율은 거래금액에 따라 바뀌니 참고만 해주세요.)
증권사 | 거래금액 | HTS | MTS | ||
---|---|---|---|---|---|
수수료 | 수수료율 | 수수료 | 수수료율 | ||
KB증권 | 1,000,000 | 2,573 | 0.26% | 1,973 | 0.20% |
대신증권 | 1,000,000 | 2,373 | 0.24% | 1,973 | 0.20% |
키움증권 | 1,000,000 | 150 | 0.02% | 150 | 0.02% |
삼성증권 | 1,000,000 | 2,972 | 0.30% | 2,972 | 0.30% |
미래에셋증권 | 1,000,000 | 1,400 | 0.14% | 1,400 | 0.14% |
NH투자증권 | 1,000,000 | 2,442 | 0.24% | 2,472 | 0.25% |
SK증권 | 1,000,000 | 2,500 | 0.25% | 1,500 | 0.15% |
한화투자증권 | 1,000,000 | 2,470 | 0.25% | 1,500 | 0.15% |
토스증권 | 1,000,000 | – | – | 150 | 0.02% |
카카오페이증권 | 1,000,000 | – | – | 150 | 0.02% |
DB금융투자 | 1,000,000 | 1,992 | 0.20% | 1,992 | 0.20% |
하나증권 | 1,000,000 | 2,970 | 0.30% | 2,970 | 0.30% |
한국투자증권 | 1,000,000 | 3,271 | 0.33% | 3,271 | 0.33% |
IBK투자증권 | 1,000,000 | 1,000 | 0.10% | 1,000 | 0.10% |
📊MTS
MTS 뜻

MTS는 Mobile Trading System의 줄임말로 투자자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같은 이동통신 기기로 거래하는 방식이에요. 대표적인 MTS로 키움증권의 영웅문, KB증권 M-able, 삼성증권 mPOP, 미레에셋증권의 M-STOCK, NH투자증권 나무 등이 있어요.
2010년 이전에는 HTS 거래방식이 90%이상을 차지했으나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점차 MTS의 비중이 높아졌는데요. 증권사들은 MTS를 주요 경쟁력으로 인식하고 서비스를 고도화해나가고 있어요.
MTS 장점
1. 휴대성과 UI


MTS의 가장 큰 장점은 휴대성이 좋다는 거에요. PC를 이용하는 HTS와 달리 스마트폰, 태블릿을 이용하기 때문에 인터넷만 있으면 어디서든 거래할 수 있어요. 따라서 장소에 제약이 없습니다.
또한, UI가 뛰어나다는 장점도 있어요. UI는 User Interface의 약자로 여러분이 앱을 사용할 때 스마트폰 화면을 말해요. UI가 뛰어나다는 말은 사용자가 이용하기 편리하다는 뜻인데요. 간단하고 명확한 메뉴 구조와 버튼 배치 등으로 사용자가 거래를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하고, 원하는 기능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 있다는 뜻이에요.
뛰어난 UI로 초보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20~30대에 접어든 MZ세대는 MTS를 훨씬 선호한다고 해요. (MZ세대는 직관적이고 간편한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요.)
실제로 2022년 한 조사에 따르면 UI/UX(User experience)를 중시하는 투자자의 비중이 29.1%로 조사되었다고 해요. (출처 : THE STOCK.com)
UI가 뛰어난 증권은 대표적으로 토스 증권이 있는데요. 주식, 채권, 외환 등 다양한 투자를 한 곳에 모아 쉽게 이용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위 사진 참고)
이러한 편의성으로 MTS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며, 2019년부터 MTS가 HTS를 앞질렀다는 것을 수 있어요.

2. 수수료 할인
MTS는 수수료가 더 저렴한 경우가 많아요. 증권사에서 거래할 때 증권거래세와 유관기관 수수료, 증권사 수수료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거래금액별로 수수료가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HTS(PC거래방식)가 MTS(스마트폰 거래방식)보다 수수료율이 높아요. HTS의 수수료 표를 참고해보세요!
3. 회사별 지속적인 개발
앞서 2019년부터 MTS가 HTS를 앞질렀다는 것을 말씀드렸는데요! 이런 흐름에 맞춰 대부분의 증권사는 MTS를 주요 경쟁력으로 보고 있어요. “해외주식계좌 만들면 30$를 드려요” 같은 문구 많이 보셨죠? 모두 MTS 경쟁이 심해지면서 고객을 유지하기 위해서 준비한 이벤트 혜택이랍니다.
참고로 2023년에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MTS는 KB증권(168만 명)이었어요. 2위와 3위는 삼성증권(167만 명)과 미래에셋증권(164만 명)이었습니다. KB증권이 1위를 차지한 이유도 비상장 주식을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 출시, STOCK GPT(AI 기반 투자정보 전달) 등 MTS를 고도화했기 때문이라고 해요. (출처 : 전자신문 etnews.com)
MTS 단점
1. 통신 속도(접속 장애)
모바일에서의 거래는 인터넷 연결 상태에 영향을 많이 받아요. 매도를 해야 하는데 인터넷 통신이나 와이파이가 불안정할 경우, 거래가 전송되지 않거나 누락되어 손해를 입을 수 있어요.
실제로 공모주가 상장하는 날에 매도 주문이 폭발적이었을 때 서버가 다운되면서 접속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어요. 이런 전산장애 민원 수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데 2023년 상반기에는 2만 1,837건으로 2022년 상반기(6,645 건)보다 3배 이상 늘었다고 해요.
이렇게 문제는 늘어나는데 고객 보상은 줄어들고 있는데요. 2020년 1인당 평균 보상금액은 88만 원이었으나 2023년 상반기에는 7만 2,000원까지 내려왔다고 해요. (출처 : 시장경제)
2. 보안문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으로 거래할 경우, 우리는 와이파이를 쓰기도 해요.
와이파이는 전파가 공중을 통해 전송되는데 물리적으로 와이파이 신호가 외부까지 퍼지면서 타인도 쉽게 접속할 수 있게 되는데요.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에 접속한 사람들이 데이터를 가로채거나 엿볼 수 있게 돼요.
그래서 스타벅스나 버스 정류장 등 암호가 없는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경우 더 보안이 취약할 수 있어요.
3.기능 제한
모바일은 PC에 비해 화면이 작아 제한이 많아요.
예를 들어, 이동평균선(일정 기간 동안의 가격 평균을 계산하여 추세를 파악하는 지표)이나 RSI 지표(주식이 과매수 또는 과매도 상태에 있는지 파악하는 지표) 등의 기술적인 분석은 힘들다는 한계가 있어요. 따라서 HTS에 비해 시장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어요.
리치레시피는 기본 금융지식을 쉽게 배워 여러분이 새로운 도전을 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좋은 정보를 제공해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