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글에서는 2024년 가장 금리높은 예금 적금 상품을 10가지씩 정리했어요.
2023년 말부터 고객을 모으기 위해 은행끼리 경쟁하면서 금리가 많이 올랐는데요! 심지어 금리가 13.6%인 적금상품도 등장했어요. 이런 높은 금리의 상품들은 효율적으로 자금을 늘릴 수 있으며, 은퇴 목표에 더욱 빠르게 도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요!
이번 콘텐츠에서는 가장 금리 높은 예적금을 10가지씩 정리했으며, 저축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정보들도 준비했습니다. 보다 효과적인 상품을 선택하는데 분명 도움이 될 거에요!
저축효율을 높이는 2가지 정보
예적금 가입 전, 고려해야 할 것들이 있어요.
바로 안정성(내가 저축한 돈을 보호해줄 수있는지)과 단리인지 복리인지 여부에요.
아주 간단하게 설명해 드릴게요.
1) 안정성
예적금 상품에 가입할 때 예금자보호법이 적용되는 상품인지 알아보아야 해요.
그래야 내 돈을 잘 보호해서 힘들게 모은 돈을 순식간에 잃지 않을 수 있거든요.
예금자보호법이란?
돈을 맡긴 금융기관이 망하면 정부 또는 정부 위탁기관에서 금융기관을 대신하여 원금과 이자를 포함하여 최대 5,000만 원까지 지급을 보장하는 법이에요.
1금융권 금융기관은 이 예금자보호법이 적용되기 때문에 안정성이 있어요. 은행이 파산해도 최대 5,000만 원까지는 보장을 해주니까요.
하지만 2금융권 예적금 상품은 예금자보호법을 적용받지 않는 상품도 있기 때문에 예금자보호법을 적용받는 상품인지 반드시 확인해 보아야 한답니다.
참고) 1금융권과 2금융권

참고) 은행도 망할수가 있을까?
2011 저축은행 사태
은행이 망하는 일은 거의 없지만 2011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도 은행이 영업정지 및 파산한 적이 있어요.
1997년 외환위기 후, 금융시장 구조가 재편되며 저축은행은 고위험 자산(부동산PF 대출 등)에 투자하는 비율을 높였어요. 이후, 미국의 서브프라임모기지로 우리나라까지 크게 경제위기가 닥친 것이지요.
10만 명이상이 피해를 봤으며, 12년이 지난 지금까지 공적자금을 50.86%인 12조 8185억 원밖에 회수하지 못했다고 해요.
(공적자금은 금융기관이 부실하거나 파산할 때 정부가 긴급하게 투입하는 자금이에요. 26조정도를 투입했으니 엄청난 양이죠? 그만큼 피해입은 사람이 많다는 뜻이에요. )
따라서 높은 이율만 볼 게 아니라 저축할 은행의 신용도 함께 보아야 힘들게 저축한 내 돈을 지킬 수 있다는 점 알아두시면 좋아요.
2) 예적금 자동예치 서비스 신청하기
예적금 자동예치 서비스는 예적금이 만기되면 자동으로 만기된 금액(원금+이자)을 동일한 상품에 똑같은 기간동안 다시 예치해 주는 서비스에요.
즉, 1,000만 원을 4% 이율의 1년 정기예금 상품에 가입하여 만기됐다면, 이자와 원금을 합쳐 1,033만 8,400원의 만기금액이 생겨요.
자동예치 서비스를 신청했다면 이 1,033만 8,400원을 바로 동일한 상품에 같은 기간동안 자동으로 예치된다는 거에요.
이렇게 되면 만기시점에 은행 앱에 들어가는 등의 번거로움이 없어지고, 재테크에서 가장 중요한 복리효과도 톡톡히 누릴 수 있게 돼요.
예적금 자동예치 서비스는 상품 가입시에 신청하시면 되며, 은행 외에 모바일 앱에서도 신청하실 수 있어요.
2024 금리높은 예금 적금 TOP 10
2024 금리높은 적금 TOP 10
2024년 가장 금리 높은 예금 적금 10가지를 알아볼게요.
관심있는 상품은 상품명을 클릭하면 바로 자세한 상품 설명을 볼 수 있으며, 정리기준은 다음과 같아요.
- 최고금리순
- 1금융권
- 가입기간 : 12 ~ 24개월
- 청년도약계좌,
기업 및 군간부 대상 제외
금리가 높은 상품들에는 특판 상품이 있는 경우가 많아요. 일정기간동안 일정 개수의 계좌만 높은 금리로 판매하기 때문에 조기 마감될 수 있어요.
따라서 신청기간과 우대조건 등을 미리 확인하고 빠르게 신청하는게 좋아요.
12개월 이상
은행명 | 상품명 | 기간 | 기본금리 | 최고금리 |
---|---|---|---|---|
전북 은행 | JB슈퍼씨드 적금 | 12개월 | 3.60% | 13.60% |
우리 은행 | 데일리 워킹 적금 | 12개월 | 1.00% | 11.00% |
부산 은행 | 너만 Solo 적금 | 12개월 | 2.40% | 8.90% |
KB국민은행 | KB차차차 적금 | 12개월 | 2.50% | 8.00% |
하나 은행 | 하나 아이키움 적금 | 12개월 | 2.00% | 8.00% |
IBK기업은행 | IBK장병내일준비적금 | 12개월 | 4.50% | 7.50% |
우리 은행 | 우리페이 적금 | 12개월 | 2.00% | 7.00% |
IBK기업은행 | IBK탄소제로적금 | 12개월 | 3.00% | 7.00% |
광주 은행 | 새희망적금 | 12개월 | 2.95% | 6.95% |
신한 은행 | 청년 처음적금 | 12개월 | 3.50% | 6.50% |
전북은행의 JB슈퍼씨드 적금은 우대금리도 높지만 기본금리도 높은 편인 점이 인상적이이에요. 가입 금액은 100만 원 이상부터 10억 원 이하인데, 특판 상품이니 서둘러 신청하는게 좋아요.
우리은행의 데일리워킹 상품의 우대조건은 조금 특이해요. 마케팅 수신동의를 하고, 입금일에 1만보 이상을 걷고 우리WON뱅킹 상품 전용 페이지에서 [성공]버튼을 누르면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어요.
만보기는 우리WON뱅킹에서 제공되는 만보기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고 해요.
24개월 이상
은행명 | 상품명 | 기간 | 기본금리 | 최고금리 |
---|---|---|---|---|
부산은행 | 너만 Solo 적금 | 24개월 | 2.45% | 8.95% |
IBK기업은행 | IBK장병내일준비적금 | 24개월 | 5.00% | 8.00% |
광주은행 | 새희망적금 | 24개월 | 3.05% | 7.05% |
제주은행 | MZ플랜 적금 | 24개월 | 4.00% | 6.00% |
경남은행 | 창원 청년내일통장 | 24개월 | 3.00% | 5.80% |
부산은행 | BNK희망가꾸기 적금 | 24개월 | 3.25% | 5.75% |
경남은행 | BNK위더스 자유적금 | 24개월 | 3.15% | 5.65% |
신한은행 | 새희망적금 | 24개월 | 4.00% | 5.50% |
제주은행 | 김만덕나눔 적금 | 24개월 | 3.80% | 5.30% |
경남은행 | 주거래 프리미엄 적금 | 24개월 | 3.60% | 5.20% |
2024 금리높은 예금 TOP 10
다음으로 금리 높은 정기예금 TOP10을 살펴볼게요. 정리기준은 다음과 같아요.
- 최고금리순
- 1금융권
- 가입기간 : 12~24개월
- 청년도약계좌,
기업 및 군간부 대상 제외
12개월 이상
은행명 | 상품명 | 기간 | 기본금리 | 최고금리 |
---|---|---|---|---|
SH수협은행 | Sh첫만남우대예금 | 12개월 | 3.00% | 4.05% |
DGB대구은행 | DGB주거래우대예금 | 12개월 | 3.40% | 4.05% |
IBK기업은행 | IBK2024특판중금채 | 12개월 | 3.81% | 4.01% |
KB국민은행 | 2024-1차 공동구매정기예금 | 12개월 | 3.40% | 4.00% |
전북 은행 | JB 1·2·3 정기예금 | 12개월 | 3.70% | 4.00% |
DGB대구은행 | DGB삼일절예금 | 12개월 | 3.60% | 3.95% |
DGB대구은행 | DGB함께예금 | 12개월 | 3.50% | 3.95% |
제주 은행 | 스마일드림정기예금 | 12개월 | 2.95% | 3.95% |
경남 은행 | BNK코리보연동정기예금 | 12개월 | 3.72% | 3.92% |
IBK기업은행 | IBK D-Day통장(단기중금채) | 12개월 | 3.91% | 3.91% |
경남 은행 | The 든든 예금 | 12 개월 | 2.60% | 3.90% |
NH농협은행 | NH고향사랑기부예금 | 12 개월 | 3.10% | 3.90% |
24개월
은행명 | 상품명 | 기간 | 기본금리 | 최고금리 |
---|---|---|---|---|
경남 은행 | BNK코리보연동정기예금 | 24개월 | 3.72% | 4.02% |
IBK기업은행 | IBK2024특판중금채 | 24개월 | 3.71% | 3.91% |
우리 은행 | 우리 첫거래우대 정기예금 | 24개월 | 2.80% | 3.80% |
IBK기업은행 | IBK평생한가족통장(중금채) | 24개월 | 3.55% | 3.75% |
경남 은행 | BNK주거래우대정기예금 | 24개월 | 3.45% | 3.75% |
DGB대구은행 | 직장인우대예금 | 24개월 | 3.18% | 3.73% |
신한 은행 | Tops CD연동 정기예금 | 24개월 | 3.70% | 3.70% |
KB국민은행 | 국민수퍼정기예금(CD금리연동형) | 24개월 | 3.70% | 3.70% |
IBK기업은행 | IBK평생한가족통장(정기예금) | 24개월 | 3.50% | 3.70% |
IBK기업은행 | 1석 7조통장(중금채) | 24개월 | 3.76% | 3.76% |
2024 은행 금리가 높아진 이유
지금 금리가 높아진 이유는 아주 간단해요!
예적금에 가입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1년 만기인 상품에 가입해요.
따라서 만기시점이 오면서 많은 돈이 은행에서 빠져나가게 되는데요! 은행은 높은 금리의 상품을 출시해서 고객들이 예적금 상품을 들게하고, 빠져나간 자금을 다시 모으는 것이랍니다.
지금 상황을 요약하면,
① 2023년 8월말 정기예금 규모는 729조원이었는데 11월에는 827조원까지 올랐어요. (사람들이 정기예금을 한 금액이 3달동안 100조원이라는 뜻이에요.)
다른 말로 하면 한국에 있는 은행들에 3달 동안 무려 100조원 들어왔다는 뜻인데요!
② 예적금 가입하는 사람들 대부분이 1년 만기인 상품에 가입한다고 했었죠?
③ 그렇다면 2024년 9월~11월쯤 되면 이 100조원 정도가 다시 은행에서 빠져나갈거에요. 은행은 돈으로 돈을 벌기 때문에 이렇게 큰 돈이 한 번에 빠져나가는 것을 싫어해요.
④ 따라서 금리를 높여서 사람들이 예적금 상품에 가입하도록 유도하여 빠져나가는 돈을 다시 메꾸려고 한 것이랍니다.
즉, 금리를 높이면 더 많은 고객들이 모이기 때문에 은행이 서로 금리를 높이고 있는 상황이랍니다.
이런 시기를 잘 살펴보면 금리가 언제 높아지는지 대략적으로 가늠할 수 있고, 이 사이클에 따라서 대출이나 예적금을 계획해 볼 수도 있겠죠?
이번 콘텐츠에서는 가장 금리 높은 예적금 10가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저축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금리가 높은 은행 상품을 찾아내는 것도 중요해요.
다음 콘텐츠에서는 금리높은 예적금을 찾는 방법 3가지를 알려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