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푸른씨앗 퇴직연금은 정부에서 중소기업 사업주와 근로자로부터 공동기금을 마련하여 근로자는 퇴직연금을 최대 80만 원까지 추가로 적립하고, 사업주는 3년간 최대 2,412만 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정부지원제도입니다.
푸른씨앗 퇴직연금 단점
대기업과 다르게 중소기업은 비교적 자금이 적어 퇴직연금 도입이 어렵기 때문에 도입된 제도인데요.
이런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푸른씨앗 퇴직연금 단점 지원대상부터 혜택과 장단점까지 한 눈에 들어오도록 알려드리겠습니다.
✅마지막에 푸른씨앗과 퇴직금제도와 퇴직연금제도 차이에 대해 정리한 자료가 있으니 바쁘신 분들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푸른씨앗 퇴직연금이란
■ 푸른씨앗 퇴직연금은 노후준비가 어려운 30인 이하 중소기업의 사업주와 근로자의 부담금으로 근로자에게 퇴직급여를 지급하는 공적 퇴직연금제도입니다.
사업주와 근로자 모두 도움이 되는 제도인데요. 중소기업은 퇴직연금 도입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근로자는 퇴직급여 체불에 대한 불안감 덜고 더 많은 노후자금을 적립할 수 있습니다.

■ 중소기업 사업주와 근로자가 근로복지공단에 부담금을 납부하면 근로복지공단은 이 돈으로 공동기금을 만들어 투자한 후 수익금을 포함하여 근로자에게 연금과 일시금으로 지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퇴직급여는 납입한 부담금과 공동기금 수익률을 합산하여 지급됩니다.
푸른씨앗 수익률
■ 공동기금은 근로복지공단에서 전문자산운용기관에 맡겨 수익률을 바탕으로 운영되는데요. 2023년 푸른씨앗 퇴직연금 공동기금 수익률은 7.66%로 아주 높았습니다.

그래프를 보시면 2023년 1분기를 제외하고, 기금수익률이 시장수익률보다 높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안정적인 수익을 내고 있다는 뜻으로 볼 수 있습니다.
📜푸른씨앗 퇴직연금 현황📜
- 적립금 규모 : 4,000억 원
- 가입 근로자수 : 약 6만 명
- 가입 사업장수 : 1.1만 개
가입대상 및 지원금액

가입대상
■ 30인 이하 중소기업에 재직 중이며, 월 평균 보수가 최저임금의 130%(268만 원)미만인 근로자
■ 고용보험 피보험자격을 취득한 근로자
■ 근로기간 1년 이상인 퇴직급여 지급 대상 근로자
👉 2025 최저임금과 연봉실수령액 (+상위 0.2%)
부담금
■ 매년 1회 이상 정기적으로 가입자의 연간(예상)임금총액의 12분의 1이상에 해당하는 부담금을 현금으로 가입자의 사용자부담금계정에 납입합니다.
🚨 연간(예상)임금총액 : 1.1 ~ 12.31 동안 지급 예정금액(세금공제 전)으로 소득세법상 비과세 소득인 식대와 차량유지비 등을 포함한 금액을 기재
🚨 정산기간에 휴직이나 수습기간이 있을 경우, 해당 기간에 지급한 임금과 기간을 제외하고 산정한 월 평균 임금액에 해당기간의 월수를 곱하여 산정한 금액 기재
지원금액 및 지원기간
푸른씨앗은 사업주에 3년간 최대 2,412만 원을 지원해 주며, 근로자는 3년간 최대 80만 원을 지원합니다. 또한, 회사 당 최대 30명까지만 최대 3년까지 지원하며 지원금은 분기마다 지급됩니다.
■ 근로자 : 3년간 최대 80만 원 지원
■ 회사(사업주) : 3년간 최대 2,412만 원 지원
■ 회사 당 최대 30명 최대 3년간 지원
■ 분기마다 지급
관련글
└ 퇴직연금 세금, 30% 절세해서 받는 방법
└ 2024년 기초연금 3.6%증가…수급조건은?
└ 국민연금 많이 받는 7가지 방법
푸른씨앗 퇴직연금 장점
이제 푸른씨앗 퇴직연금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업주가 좋은 점
① 사용자부담금 지원
월평균 보수 268만 원 미만 근로자 사용자부담금 10% 지원
②수수료 면제
일반 퇴직연금의 경우, 적립금 규모에 따라 최대 600만 원까지 수수료가 부과되었습니다. 하지만 푸른씨앗 퇴직연금 수수료는 2023년 이후 5년간 면제되어 적립금 규모가 10억이 되어도 수수료가 0원입니다.

③ 간편한 가입절차
표준 계약서 규약 하나만 작성하면 가입완료되며, 비대면으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④ 법인세(사업소득세) 절감 효과
사용자부담금 납입액이 법인 및 개인 사업자의 손금 및 필요경비로 처리 가능하여 법인세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⑤ 분할적립으로 근로자 장기근속 유도
퇴직금을 분할하기 때문에 근로자 장기근속 시에도 안정적으로 퇴직급여 지급할 수 있습니다. 장기근속한 근로자가 퇴사할 수록 사업주 입장에서 퇴직금이 부담되는데,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뜻입니다.
✅근로자가 좋은 점
① 공적 기금형 퇴직급여제도 (안전 노후)
공공기관인 근로복지공단에서 운영하기 때문에 사외적립이 되어 근로자의 수급권을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즉, 퇴직연금을 반드시 수급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② 안정적인 수익률
약 4,000억 원 규모의 공동기금 전문자산운용기관에 위탁하여 운용하여 수익률이 안정적입니다.
2023년 수익률은 7.66%를 기록했으며, 2024년 3분기 현재 9%의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③ 근로자 재정 지원
월평균 보수 268만 원 미만 근로자에 대한 사용자부담금의 10%를 지원하기 때문에 퇴직연금을 추가적으로 적립할 수 있습니다. 근로자에게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푸른씨앗 퇴직연금 단점
이제 푸른씨앗 퇴직연금 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① 가입 대상 제한
월평균 보수가 268만 원 미만 근로자만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최저임금의 130% 수준이며, 2025년 최저임금이 높아졌으므로, 내년에는 가입 대상 범위가 넓어질 수 있습니다.
② 원금 손실 가능성
사업주와 근로자가 납부한 공동기금을 전문자산운용기관에서 투자하여 생긴 수익금으로 운용됩니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원금 손실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③ 제한된 지원 기간
재정지원을 최대 3년까지만 받을 수 있어 퇴직연금이 늘어났다는 것을 크게 체감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가입방법
푸른씨앗 퇴직급여 가입절차나 문의는 전담 콜센터 (1611-0075) 또는 가까운 근로복지공단을 방문하여 상담하실 수 있습니다.
퇴직금제도 퇴직연금제도 차이
푸른씨앗과 퇴직금제도와 퇴직연금제도 차이 한 장 정리본입니다. 클릭하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