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까지 1,000만 원을 모았다면 2,000만 원이 되는데 얼마나 걸릴까요?
72법칙을 활용하면 내가 모은 돈이 2배가 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대략적으로 계산할 수 있어요.
오늘은 72법칙과 이자율별로 원금이 2배되는 기간, 복리에 대해서 쉽게 알려드릴게요
72법칙이란
✅ 72법칙은 복리로 어떤 금액이 2배가 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계산할 수 있는 간단한 공식이에요.
예를 들어,1,000만 원을 연3%인 예적금상품에 저축하여 2,000만 원이 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72÷3=24년이 걸린다는 거죠.
- 72법칙 : 72 ÷ 이자율(%) = 원금이 2배가 되는 기간 (년)
💰 원금이 2배 되는 기간
이자율(%) | 원금이 2배 되는 기간(년) |
---|---|
2% | 36년 |
3% | 24년 |
4% | 18년 |
5% | 14.4년 |
6% | 12년 |
7% | 10.3년 |
8% | 9년 |
9% | 8년 |
10% | 7.2년 |
12% | 6년 |
💡 목표 금액을 모으는데 필요한 연 이자율도 계산할 수 있어요
72법칙으로 N년 후 목표금액을 모으려면 연 몇%의 수익률이 필요한지도 계산해 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1,000만 원을 10년 후에 2,000만 원으로 만들고 싶다면 72÷10년 = 7.2%, 즉 연 7.2% 이상의 수익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죠.
20년 후에 2배로 만들고 싶다면 72 ÷ 20년 = 3.6%로 연 3.6%의 이자율이 필요한 거죠.
📌 이처럼 목표 기간을 정하면 필요한 이자율을이 나오고, 반대로 이자율을 알면 돈이 2배가 되는 기간을 예측할 수 있어요.
💰목표 연도별 원금 2배 증가를 위한 수익률
목표 기간(년) | 필요한 수익률(%) |
---|---|
5년 | 14.4% |
7년 | 10.3% |
10년 | 7.2% |
12년 | 6% |
15년 | 4.8% |
20년 | 3.6% |
25년 | 2.88% |
30년 | 2.4% |
40년 | 1.8% |
50년 | 1.44% |
관련글
[재테크 시리즈]
└1억 모으는 최신 월급관리방법
└ 내가 부자될 확률 알아보는 방법
└ 저축 투자 비율 나누는 방법
└ 2025년 월급 실수령액 표
└ 하루만 맡겨도 이자받는 방법-파킹통장
└ 채권 가장 쉽게 사는 방법 2가지
└ 2025 금리높은 예적금 찾는 방법 3가지
단리 복리 돈 불리는 속도가 다르다
우리가 은행에 예적금할 때 적용되는 이자 계산 방식은 단리와 복리 2가지에요.

단리는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가 붙고, 복리는 원금+발생한 이자까지 포함하여 이자가 붙는 거죠. 따라서 같은 금액을 저축해도 이자 계산법이 단리인지 복리인지에 따라 최종 금액이 크게 차이나게 돼요.
💡단리 vs 복리 비교표
📌 1,000만 원을 연5% 단리와 복리 상품에 저축하면 금액이 얼마나 차이나는지 살펴볼게요.
연도 | 단리 (5%) | 복리(5%) |
---|---|---|
1년 | 1,050만 원 | 1,050만 원 |
2년 | 1,100만 원 | 1,102.5만 원 |
3년 | 1,150만 원 | 1,157.6만 원 |
4년 | 1,200만 원 | 1,215.4만 원 |
5년 | 1,250만 원 | 1,276.3만 원 |
6년 | 1,300만 원 | 1,340.1만 원 |
7년 | 1,350만 원 | 1,407.1만 원 |
8년 | 1,400만 원 | 1,477.5만 원 |
🧮 단리
– 1년차 : 1,000만 원 + 50만 원(5%) = 1,050만 원
– 2년차 : 1,050만 원 + 50만 원 = 1,100만 원
– 3년차 : 1,100만 원 + 50만 원 = 1,150만 원
▶ 3년간 이자총액 150만 원, 최종금액 1,150만 원
🧮복리
– 1년차 : 1,000만 원 + 50만 원(5%) = 1,050만 원
– 2년차 : 1,050만 원 + 52.5만 원 = 1,102.5만 원
– 3년차 : 1,102.5만 원 + 55.1만 원 = 1,157.6만 원
▶ 3년간 이자총액 157.6만 원, 최종금액 1,157.6만 원
이처럼 단기간에는 차이가 크지 않지만, 기간이 길어질수록 복리 상품의 원금이 빠른 속도로 불어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어요.
그래서 복리 효과를 눈덩이 효과라고도 부르며, 아인슈타인은 복리 효과를 8번째 세계 불가사의라고 했죠. 복리를 이해하는 사람은 돈을 벌고, 그렇지 못한 사람은 돈을 지불한다는 명언을 남기기도 했습니다.
🚨 단리 복리 계산을 직접해보고 싶다면 금융계산기를 활용해 보는 것이 좋아요!
복리 효과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
집을 사거나 교육비를 마련할 때, 결혼할 때 등 많은 돈이 들어가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노후준비에요.
65세 이후 은퇴하게 되면 소득이 없는 상태에서 20~40년간 생활비를 마련해야 하기 때문이죠. 아무리 노인 연령이 높아진다고 하지만 노후에 일하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복리를 최대한 활용해야 하며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은 3가지에요.
- 복리 적용하는 금융상품 선택하기
- 투자 기간을 길게 가져가기
- 금리 차이 무시하지 않기
🎈 도움되는 글
└ 내가 가입한 보험 조회하는 방법
└ 내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살펴보기
오늘은 72법칙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복리 적용하는 금융상품은 은행입장에서 이윤을 많이 남기지 못하기 때문에 많이 나오는 상품은 아니에요. 그래도 인터넷에 검색해보면 찾을 수 있으니 한 번 검색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