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후준비, 국민연금만으로 하는 게 과연 충분할까요? 아마 대부분 부족하실 것입니다. 국민연금만으로 충분한 수급액을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 개인연금이나 퇴직연금 등 추가적인 연금제도를 고려할 수도 있는데요.
이번 콘텐츠에서는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많이 궁금해하시는 세금 부과여부도 알아보겠습니다.
📜 본 콘텐츠는 연금시리즈로 기본정보부터 연금수령액을 높이는 정보까지 연재됩니다. 노후준비, 더욱 탄탄하게 해보세요.
[연금끝판왕 ①] 국민연금 종류5가지(왜 노후준비에 유리할까?)
[연금끝판왕 ②] 국민연금 수령조건과 예상수령액 조회하기
[연금끝판왕 ③] 국민연금 많이 받는 방법 7가지
[연금끝판왕 ④] 국민연금 조기수령 조건 3가지와 신청방법
●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하기 (최대 얼마까지 내야 할까?)
●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방법과 세금 정리
국민연금, 세금 내야 할까?
국민연금에도 세금이 붙습니다. 단, 지급받는 모든 국민연금 급여에 세금이 붙는 것은 아닌데요.
장애연금과 유족연금은 세금이 부과되지 않으며, 노령(분할)연금과 반환일시금에서 일부 세금이 부과됩니다.

국민연금 세금은 어떻게 납부하나요?
2002년 1월 1일부터 납부한 국민연금 보험료는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2002년 이후에 납부한 국민연금 보험료에 대해서는 연말정산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것이지요.
따라서 ! 세금을 따로 납부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연금을 받을 때 세금이 미리 공제되며, 연말정산을 통해 정확한 세액을 확정하고 그 차액이 다음 해 1월 연금에 반영되기 때문입니다.
한 줄 설명
👉 세금은 부과되지만 다음 해 1월에 수령하는 연금액에 세금이 반영되므로 따로 납부할 필요가 없습니다.
참고) 국민연금 수령조건도 확인해 보세요.
▶ 국민연금 수령조건 확인하러가기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하기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조회방법은 [직접확인], [간편계산] 2가지로 나뉘는데요.
✅ 직접 확인 방법 : 본인인증을 하여 예상수령액을 조회
✅ 간편 계산 방법 : 본인인증을 하지 않고, 월 납부액만 입력하여 예상수령액 조회

직접 두 서비스를 이용해 본 결과, 정밀하게 계산하고 싶다면 조금 귀찮지만 간단 계산을 이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직접 확인 방법은 현재 소득이 변하지 않고 연금받을 때까지 납부할 때, 얼마를 받는지를 계산한 것이며, 간단 계산 방법은 소득변경(연봉이 인상되었거나 일을 쉬거나 등) 반영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화폐의 미래가치도 계산해 주어 보다 정확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이제 각각 조회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서비스는 현재 국민연금 제도를 기반으로 나온 데이터이므 이후 법이 개정되면 산정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상수령액 조회하기- 직접확인
1.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접속 하여 [내 연금 알아보기] 클릭

2. [예상연금 조회] 또는 [장애 · 유족 연금 예상연금액조회]를 클릭합니다.

3. 본인인증 후 [예상연금액보기]를 클릭합니다.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결과]
조회결과, 몇 년도부터 매월 얼마를 수령할 수 있는지부터 노령연금에 세금이 얼마 부과되었는지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직접확인은 현재 소득과 물가가 변동없는 것으로 가정했기 때문에 받을 수 있는 연금은 더 많아지거나 적어질 수 있습니다.

▼ 세전/세후 예상 노령연금액부터 처음 국민연금을 납부하기 시작한 연도와 달까지 알 수 있습니다.

참고) 내가 연금 받는 시기는 언제일까?
▶ 국민연금 수령조건(나이) 알아보기
국민연금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시나요? 개인연금으로 더욱 든든하게 노후를 준비하세요!
▶ 월 50만 원 늘리는 개인연금
예상수령액 조회하기- 간편계산
1.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내 연금 알아보기]를 클릭합니다.

2. 예상연금 모의계산 혹은 예상연금 간단계산을 선택합니다.
✅ 예상연금 모의계산 : 소득 및 가입기간을 자유롭게 입력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예상연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예상연금 간단계산 : 월 납입보험료를 입력하면 조회하는 해의 1월 1일부터 가입하여 10년 이상 납입 후 예상연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상연금액 모의계산]
1. 기본정보와 소득정보, 크레딧 대상을 입력합니다.
● 소득정보 추가를 클릭하시면 임금인상이나 휴직 등으로 변경된 월소득과 그 기간을 추가하실 수 있습니다.
2023년 전국 평균 임금상승률은 3.8%였는데요. 간단한 계산을 위해 예상소득상승률은 3%로 입력했습니다.
참고) 연도별 임금상승률 (통계청)

⭐크레딧 설명⭐
출산 정보 입력
① 2007.12.31 이전에 자녀가 없거나 한명인 사람이 2008.1.1 이후 자녀를 둘째 이상 출산하거나 입양한 경우에는 둘째 자녀에 대한 가입기간 12개월에 셋째 이상 자녀 각 1명마다 18개월을 각각 추가하고, 최대한도는 50개월까지임
② 2007.12.31 이전에 둘째 이상의 자녀를 가진 사람이 2008.01.01 이후 자녀를 출산하거나 입양한 경우, 2008.1.1 이후 얻은 자녀 각 1명마다 18개월을 추가하고 최대한도는 50개월까지임.
군복무 정보 입력
2008.1.1 이후 병역의무 수행기간이 6개월 이상인 경우 노령연금 가입기간 6개월 더 인정
2. 조회결과, 노령예상연금의 현재가치와 미래가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상연금 간단계산]
예상연금 간단계산은 월 납입액만 입력하면 노령연금부터 유족연금까지 수령액을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 모바일로 조회하기

국민연금공단 앱인 [내곁에 국민연금]을 통해서도 예상수령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1. 내 곁에 국민연금을 다운로드 받고, 홈 화면의 오른쪽 위 전체메뉴를 클릭합니다.

2. 예상노령연금을 클릭하고, 간편인증하시면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