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5년 6개월간 초과납부된 국민연금 액수가 무려 1조 원을 넘는다고 합니다. 여러분의 국민연금이 초과납부되고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이지요. 특히, 사업장가입자는 회사에서 국민연금 보험료 처리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자신이 어떤 가입자 유형인지 아는 것도 중요합니다.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내가 어떤 유형 가입자인지부터 초과납부하고 있는 국민연금이 있는지 알아볼 수 있는데요.
이번 콘텐츠는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 납부액
국민연금 납부액은 가입자별로 다르게 부과됩니다.

우리나라 국민연금 가입자는 의무가입자인 사업장가입자, 지역가입자 그리고 선택가입자인 임의가입자, 임의계속가입자가 있습니다. 국민연금 보험료는 본인이 월 소득의 9%를 납부합니다.
하지만 사업장가입자는 조금 다릅니다. 본인 4.5% 회사 4.5%가 부담하게 됩니다. 만약 여러분의 월소득액이 100만 원이라면 국민연금 보험료는 총 9만 원이 부과되며, 여러분이 4만 5천원을 내고 나머지 4만 5천원은 회사가 납부하는 것이죠.
참고)
국민연금 최대 얼마내야 할까?
2024년 7월 1일부터 정책변경으로 국민연금 상한액과 하한액이 각각 617만 원, 39만 원으로 상향됐습니다. 이게 무슨말이냐면!

국민연금 상한액
국민연금 상한액 617만 원이라는 뜻은 월 소득이 617만 원을 넘어가더라도 617만 원을 기준으로 보험료가 부과된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국민연금 최대 납부액은 617만 원의 9%인 55만 5,300원이 되며, 이 이상은 납부하지 않는다는 뜻이죠.
국민연금 하한액
하한액도 마찬가지입니다. 월 소득이 39만 원보다 적더라도 39만 원을 기준으로 보험료가 부과됩니다.
따라서 국민연금 최소 납부액은 39만 원의 9%인 3만 5,100원이 됩니다.
✅ 즉, 우리나라 국민연금 납부금은 최소 3만 5,500원 ~ 55만 5,300원 사이라는 뜻입니다.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하는 이유
① 초과납부 조회
여러분이 내고 있는 국민연금이 초과납부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 5년 6개월동안 초과 징수된 국민연금 보험료는 1조원을 넘는다고 하는데요.
직장인의 경우, 회사에서 소득신고 및 보험료 납부를 대신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회사가 실수로 잘못된 소득을 신고하거나 잘못된 보험료를 납부할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소득신고 오류, 이중 납부, 행정처리 오류로 국민연금 초과납부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하니 꼭 조회해 보셔야 하겠습니다.
참고자료) 잘못 걷힌 연금 193만건 · 1조 2700억 넘어..(매일경제)
②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확인
국민연금 납부액을 조회하면 나중에 월마다 얼마를 받을지 연금 수령액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또한, 납부액이 부족하다면 납부기간을 늘려 연금 수령액을 늘리는 계획도 세울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국민연금 납부액을 조회해보세요.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는 국민연금공단에서 모바일과 PC 모두 가능합니다.
국민연금공단 앱을 설치해 놓으시면 연금정보를 편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조회가 편한 모바일에서 조회하는 방법부터 알려드릴게요.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 모바일
1. 내 곁에 국민연금 어플에서 로그인(간편인증 또는 공동인증서)합니다.

2. [더보기]를 클릭합니다.
더보기위의 [가입내역]을 보시면 여러분이 어떤 유형의 국민연금 가입자이며 언제부터 국민연금을 내기 시작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꼭 확인해 보세요.

3. 납부내역 조회
가입내역 요약이 나옵니다. 현재까지 총 납입한 금액과 국민연금에 몇 개월동안 가입되어 있는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 납부하지 않은 보험료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아래 내역의 경우, 297,800원이 미납되었습니다. 보통 이런 경우는 보험료는 납부했으나 아직 전산이 처리안된 경우가 많아 기다리시면 됩니다.
만약 이외의 이렇게 미납 보험료가 있다면 국민연금 공단에서 추납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4. 상세내역 확인
스크롤을 내리시면 상세한 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조회기간을 설정하시면 언제 얼마를 납부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 PC
1. 국민연금공단 전자민원 서비스에 접속하여 가입내역 조회를 클릭합니다.

2. 총 납부내역 확인합니다.
총 납부내역에서도 납부하지 않은 연금보험료 내역이 있을 수 있는데요.
아래를 보시면 “당월분 보험료는 납부기한 전이라도 납부하지 않은 보험료로 표기될 수 있습니다.“라는 문구가 있습니다.
여러분이 전월 월급을 받은지 얼마 안됐을 때 납부내역을 조회하면 전산처리가 조금 늦을 수 있어 그러는 것이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3. 스크롤을 더 내려 연금보험료상세내역을 확인합니다.
상세내역에는 언제 얼마나 납부를 했는지 내역이 나와있습니다. 더 밑을 보시면 [예상연금월액(노령연금)] 란이 있는데요. 이는 현재 월 소득액을 기준으로 60세까지 국민연금 보험료를 납부할 때 총 얼마를 납부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4. 또한 연금계산내역을 보시면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 총가입개월 : 국민연금에 가입한 개월 (납부한 개월의 수)
✅ 총 납부보험료
✅ 기본연금액 : 수령나이가 되었을 때 매월 받을 금액
✅ A값 : 연금수급직전 3년동안 가입자 전체의 평균 월소득액의 평균액
✅ B값 : 가입자 개인의 가입기간중 기준소득월액을 현재가치로 재평가한 평균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