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9월 30일부터 인감증명서 인터넷 발급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기존에는 근처 주민센터나 등기소에 직접 방문해야 발급받을 수 있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인감증명서 인터넷 발급 방법과 유효기간, 준비물부터 법인 인감증명서 발급은 어떻게 되는지 까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인감증명서란?

■ 인감증명서는 어떤 서류나 계약에서 본인이 맞다는 것을 증명하는 민원문서입니다. 개인 인감증명서와 법인 증명서 2종류가 있으며, 인터넷 발급은 개인 인감증명서만 가능합니다. (법인 인감증명서 내용 아래 참고)
■ 참고로, 인감증명서 유효기간은 없습니다. 보통 거래 당사자들 간에 인감증명서가 너무 오래됐다 싶으면 재발급 받아줄 수 있냐 요청하시면 됩니다.
언제 사용되나요?
■ 인감증명서는 보통 부동산 및 자동차 계약 (매도인), 대출 신청, 채권 담보 등 재산권과 관련하여 법원과 은행에 제출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이 외에 면허 신청이나 보조사업 신청, 경력 증명 등을 위해 사용되기도 합니다.
즉, 중요한 계약할 때 많이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 실제로 작년에는 총 2,984만 건이 발급되었습니다. 용도별로 일반용 2,668만 건(89.4%), 부동산 매도용 134만 건(4.5%), 자동차 매도용 182만 건 (6.1%)을 목적으로 발급되었습니다.
인감증명서 인터넷 발급 방법

■ 인감증명서 인터넷 발급은 본인만 신청할 수 있으며, 대리발급은 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하는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발급비용은 무료입니다.
■ 일반 인감증명서를 금융기관이나 법원에 제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면허 신청, 경력 증명 등의 목적일 때 인감증명서 인터넷 발급이 가능합니다. 인터넷 발급 시 준비물은 금융인증서 또는 공동인증서입니다.

1. 정부24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인감증명서 발급 신청을 클릭합니다.

2. 로그인 후 공동인증서 또는 금융인증서로 본인인증을 합니다.

3. 본인인증 후 신청서를 작성하고 신청하기를 클릭합니다. (제출처 필수 입력)

4. PC로 인감증명서가 발급되면 문서출력을 클릭하여 인쇄합니다.

🚨인감증명서 진위여부는 정부24 홈페이지나 앱에서 인감증명서 16자리 문서확인번호를 입력하시면 진위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법인 인감증명서 발급
■ 법인 인감증명서는 인터넷 발급과 대리발급이 되지 않으며. 지방법원 및 종합민원실 등기소, 무인발급기에서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단, 무인발급기를 이용할 경우 1,000원의 수수료가 발생한다는 점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가까운 무인발급기 위치 확인해 보세요 !
법인 인감증명서 발급 절차
💼 준비물 💼
■ RF인감카드 또는 마그네틱 인감카드
■ 수수료 1,000원 (현금, 카드 가능)
1. 무인발급기 화면에서 법인인감버튼 클릭
2. 수수료 결제 후 인감매체(RF인감카드 또는 마그네틱 인감카드) 선택
3. 인감카드 RF수신기에 접촉 후 비밀번호 입력
4. 조회 결과, 회사명과 대표이사 이름 확인
5. 인감증명서 종류(일반, 부동산매도, 자동차매도) 및 발급받을 부수 선택
6. 발급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