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려분이 궁금해 할 경제용어를 모았어요. Crtl+F를 눌러 여러분이 궁금한 용어를 검색하여 기본 상식부터 최신 시사상식까지 알아보세요! 경제용어사전은 평생 수정 및 업데이트 됩니다.
경제용어 모음
ㄱ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ㄴ
ㄷ
대손충당금
금융 기관이 외상, 대출금 등을 받지 못할 것을 대비해 예비로 설정하는 자금.
일반적으로 은행이나 기타 금융기관은 대출 등에 따른 채권 손실에 대비해 일정 금액을 대손충당금으로 설정합니다. 외상이나 대출금이 불이행 될 경우, 그 대액을 상환하기 위해 사용되며, 신용 손실 발생 시 손실을 상쇄하여 자본의 보존에 기여합니다. (금융 안정성 유지) 대손충당금은 기업의 규모, 리스크, 금융 시장 조건에 따라 달라지며, 재무제표 자산 부문에 포함됩니다.
ㄹ
ㅁ
매매평가익
주식이나 기타 금융 상품을 매입한 가격과 현재 시장 가격 간의 차이로 발생한 수익.
매매평가익은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동안에만 발생하며, 실제로 자산을 매도하지 않는 이상 실현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매매평가익은 실제로 자산을 매도하여 현금화할 때에만 실제 수익으로 전환됩니다.
ㅂ
ㅅ
ㅇ
유상증자
기업이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여 필요한 자본을 확보하는 과정을 가리키는 금융 용어.
유상증자는 공모 방식이나 사모 방식으로 이뤄지며, 기업이 증권 시장에서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여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조달합니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주식을 구매한 투자자들은 기존 주주들과 함께 회사의 소유주가 됩니다.
유상증자는 기업이 자본을 확보하는 유용한 방법 중 하나이지만, 이는 기존 주주들의 보유 비율을 희석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유상증자는 기업의 재무 상태, 시장 환경, 자금 필요성 등을 고려해 신중하게 결정되어야 합니다.
익스포져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는 금액
위탁매매
ㅈ
ㅊ
ㅋ
코리아 디스카운트(Korea discount)
비슷한 수준의 외국기업과 한국기업이 있을 때, 한국기업의 주가가 더 낮게(discount) 형성되어 있는 현상.
대한민국 산업구조 특성 상 제조업이 다수를 차지하는데 대기업의 하청업체로서 일감이 생기기 때문에 자체적인 경쟁력이 크게 없다. 또한, 주주들에게 이익을 나누어 주는 배당금 비율이 순이익의 17%로 세계 평균이 73%인 것을 생각하면 매우 부족한 수준이다. 따라서 수익이 더 좋은 해외에 투자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참고로 대한민국 코스피 지수는 2014년 1,915에서 2024년 2,700 수준으로 10년동안 41%정도 올랐는데 미국, 일본, 인도가 200%이상 성장했다는 것을 보면 얼마나 성장하지 않았는지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