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영향으로 돈까스나 올리브영 화장품을 더 비싸게 사야 할 수도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이외에도 기준금리는 예금/적금/대출 금리 등 “모든” 우리 생활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금리에도 순환 사이클이 존재하는데요! 금리의 순환 사이클만 알아도 자산을 효율적으로 증식할 수 있습니다.
기준금리 뜻부터 금리 사이클까지 간단하게 알려드릴게요.
기준금리란?
기준금리는 한 나라의 기준이 되는 금리로, 기준금리를 바탕으로 대출금리, 콜금리 등 모든 금리가 결정돼요. 전에는 콜금리가 기준금리였으나 2008년 3월부터 지금까지 환매조건부채권(RP)이 기준금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기준금리는 그 나라의 중앙은행이 공표하는데, 우리나라는 한국은행이 1년에 8회 회의를 거쳐 기준금리를 공표하고 있어요.

기준금리가 오르면
예를 들어, 기준금리가 1%에서 10%로 올랐다고 가정해 볼게요. 1억 원을 대출하면 이자로 백만 원만 갚으면 됐었는데 천만 원을 갚아야 하는 상황이 됐습니다.
사람들은 왜 대출을 할까요? 보통 사람들은 부동산 등 자산을 증식하기 위한 투자를 위해서 대출하며, 기업은 사업확장을 위해서 대출합니다. 투자가 목적이지만 결국 돈을 쓰기 위해서 대출을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금리가 오르면서 이자가 많아졌기 때문에 기업이든 개인이든 대출을 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소비와 경제활동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죠.
경제활동이 줄어들면 시장에 흐르는 돈의 양이 줄어들게 돼요.
무엇이든 많을수록 가치가 떨어지고 적을수록 가치가 높아진다는 것은 아시죠? 마찬가지로 돈의 양이 줄어들면 돈의 가치는 상승합니다. 10,000원으로 돈까스 1조각을 먹었다면 이제는 10,000원으로 돈까스 2조각을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지요. 이것을 물가가 하락했다고 표현합니다.
물가가 하락하면 같은 양의 돈으로 돈까스도 더 먹을 수 있고, 화장품도 더 살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제 활동이 활발해지는 것입니다.
기준금리가 높아지면 예금/적금 가입만으로도 자산을 증식할 수 있어요.
따라서 이자를 많이 주는 예적금 상품을 알고 있는 것이 좋아요.
지금 예적금 이자가 가장 많은 상품을 10가지씩 정리했으니 꼭 읽어보세요.
기준금리가 내리면
이제 기준금리를 10%에서 1%로 내렸습니다. 1억 원을 대출하면 천만 원이 아닌 백만 원만 갚으면 되어 부담이 훨씬 덜해졌습니다. 따라서 사람들과 기업은 더 많이 대출을 하고, 여기저기 투자하면서 경제활동이 활발해지게 됩니다.
경제활동이 활발해지면 시장에 흐르는 돈의 양이 많아지고, 돈의 가치가 하락하게 돼요. 예를 들어, 10명에게 빵 5개가 있으면 1개로 2명씩 나눠 먹어야 합니다. 근데 10명에게 빵 10개가 있다면 1명당 1개씩 먹을 수 있기 때문에 빵을 전보다 소중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빵의 양이 많아지면서 빵의 가치가 하락한 것입니다. 빵을 돈으로 생각해보면 훨씬 이해하기 쉬우실 거에요.
이렇게 돈의 가치가 하락했기 때문에 같은 양의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의 양이 줄어듭니다. 이것을 물가가 상승했다고 표현하며, 소비가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경제활동이 위축되는 것입니다.
기준금리와 경기순환사이클
위에서 보았듯이 기준금리를 변경하여 통화량을 조절할 수 있어요. 그래서 중앙은행은 경기 상황에 따라서 물가를 안정시킬 목적으로 기준금리를 사용하고 있답니다.
“경기가 인좋아졌을 때는 금리를 낮춰 소비를 유도하고, 경기가 과열되면 금리를 높여 소비를 억제하여 물가를 안정시킨다.”

위 그림은 기준금리와 실물경기를 나타낸 그래프에요. 그래프 끝의 검정색 점선을 보면 사이클이 맞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코로나라는 특수한 상황으로 금융지원 및 규제가 비정상적으로 발생하면서 차이가 생긴 거에요.
이 부분을 제외하고 보면 금리 사이클과 실물경제 사이클이 비슷하게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금리로 현재 경기가 어떤 국면인지 알 수 있다는 것이 이 때문이에요.
영국의 경제학자 조셉 키친은 단기적으로 4년 주기로 경기 사이클이 순환한다고 했으며, 프랑스의 클레멘트 주글라는 중장기적으로 10년 주기로 경기가 순환한다고 해요.
따라서 우리는 이 금리사이클만 알아도 지금 경기가 상승국면인지 하강국면인지 파악하고, 현금을 보유할 지와 투자비중을 늘릴지 올바른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기준금리에 따라 주식/부동산 시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해 보세요!
> 기준금리가 오르면 주식/부동산은 어떻게 될까?